울산대학교 | 의과학기술연구소
본문바로가기
ender

정보마당

자료실

11월 29일 : ESCRT-III downstream of MLKL regulates necroptosis
작성자 손** 작성일 2018-11-30 조회수 100

1. Phosphatidyl serine (PS)의 exposure는 apoptosis 뿐만 아니라 necroptosis에서도 나타난다.

 

2. necroptosis 모델에서 PPS의 exposure는 cell membrane integrity가 깨지기 전에 일어나며, MLKL dependent하고, apoptosis에서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Ca2+ 이온에는 dependent 하지 않다.

 

3. PS이 exposure 된 후 membrane의 bubble이 생기는 데, 이 위치는 MLKL, ESCRT-III가 같이 있는 곳에서 생긴다.

 

4. MLKL의 activation이 없으면, ESCRT-III가 membrane으로 translocation 되지 않으며, membrane bubble 역시 생기지 않는다. 또한 ESCRT-III를 억제해도 membrane의 bubble은 생기지 않는다.

 

5. Ca2+ influx는 PS exposure 전에 일어나며, ESCRT-III의 membrane translocation은 Ca2+ dependent 하다.

 

6. ESCRT-III는 necroptosis 모델의 세포의 죽음을 delay 시키는 데, 결과적으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cytokine 등을 분비하는 시간이 길어져 면역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7. ESCRT-III는 MLKL의 activation에 영향을 주지 않기에, 4번을 고려하면 ESCRT-III의 membrane translocation은 MLKL의 down-stream으로 생각된다.

 

8. ESCRT는 MLKL이 activation 된 세포를 소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그 동안 necroptosis의 "no return point"로 생각되었던 MLKL의 activation은 no-return point가 아니다.

 

 

 

 



 내용은 이렇게 정리되지만, 내용보다는 현재 cell death에 관해서 이러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necroptosis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cell death의 부분적으로 억제하여 면역반응과 관련된 cytokine을 만드는 시간을 갖는 게 유리하고 그 역할을 ESCRT가 하는 듯 하다.

 

  다시 말해, 세포를 무조건 죽이는 것 or 살리는 것/ 그 것 자체만 가지고는 system 전체에서의 이익을 따지기는 어렵다.

 이런 생각의 흐름이 더 중요했던 시간이였습니다.